logo
전문가들 “한국 비만 기준 BMI 25 유지해야”... 진단 정확도 높일 추가 지표 도입 필요
LIFE
건강정보

전문가들 “한국 비만 기준 BMI 25 유지해야”... 진단 정확도 높일 추가 지표 도입 필요

문나리 기자
입력
비만 기준 상향 주장에 의료계 반박… "사망률보다 질환 발병 기준이 핵심"

  대한비만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한국인의 비만 기준을 놓고 열띤 논의가 이어졌다. 최근 일부에서 서구화된 식습관 변화 등을 근거로 비만 기준(BMI)을 상향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나, 의료계는 이러한 시도가 오히려 비만에 대한 경각심을 약화시킬 수 있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한국비만학회 춘계학술회
대한비만학회 춘계학술대회
대한비만학회 춘계학술대회
대한비만학회 춘계학술대회

  현재 한국에서는 체질량지수(BMI) 25 이상을 비만, 23.0~24.9를 과체중 또는 비만 전단계로 분류한다. 이는 미국이나 유럽의 기준(BMI 30 이상)보다 낮지만, 아시아인의 신체 특성과 관련 질환 발병 특성을 고려한 WHO 권고에 부합한다.

 

  홍준화 을지대학교 의대 교수는 “비만 기준을 완화하면 질병 예방 시기를 놓칠 수 있다”며 “지금의 기준을 유지하고, 조기 개입과 선제적 관리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양현 고려대 의대 교수 또한 “아시아 국가 대부분이 BMI 25를 비만 기준으로 채택하고 있으며, 이는 비만 관련 질환의 발병률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WHO도 2000년 보고서를 통해 아시아인을 위한 BMI 25 기준을 제시한 바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지난해 추계학술대회에서 비만 기준을 BMI 27 이상으로 상향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건보공단은 2002~2003년 성인 847만 명의 건강검진 데이터를 21년간 추적 분석한 결과, BMI 27 이상에서 고혈압·당뇨병 등 질병 위험이 급격히 증가하고, BMI 29 이상에서는 사망률이 두 배 이상 높아진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비만 기준을 BMI 27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의료계는 사망률보다는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수면무호흡증 등 만성질환의 발병 위험을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반박했다. 또한, 전문가들은 BMI 수치만으로는 개인의 체지방량이나 지방 분포, 대사 건강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홍준화 교수는 “정확한 비만 진단을 위해 허리둘레, 체성분 분석, 인슐린·LDL 수치 등 다양한 생체지표와 복합적인 평가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홍 교수는 중국의 사례도 언급했다. “중국은 한때 비만 기준을 BMI 30으로 설정했다가 국민의 건강지표를 분석한 뒤 28로 하향 조정했다”며 “자국민 특성을 반영한 기준 설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결론적으로, 한국인의 비만 기준은 현재와 같이 BMI 25를 유지하되, 보다 정밀한 진단과 맞춤형 예방·치료 전략을 위해 보완 지표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데 전문가들의 의견이 모아졌다.

문나리 기자
theway_u@naver.com
share-band
밴드
URL복사
#대한비만학회#bmi기준#비만진단#홍준화교수#김양현교수#비만기준논란#체지방분석#질환위험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