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 해킹 사태 후 ‘정보보호 혁신위원회’ 구성... 전사 보안 체계 전면 재정비
SKT 유심 보안 조치 강화… 정부·업계는 대선 앞두고 사이버 보안 경계 강화

SK그룹이 최근 발생한 SK텔레콤 해킹 사태를 계기로 전사 차원의 정보보호 체계 강화를 추진한다. 그룹은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정보보호 혁신위원회’를 조만간 구성할 예정이며, 전략·글로벌위원회 회의에서 위원회의 방향성과 운영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공식 사과문을 통해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시각에서 보안 체계를 진단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위원회를 구성하겠다”며 “SK 전 그룹사를 대상으로 보안 전반을 재점검하고, 보안 시스템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혁신위원회에는 정보 보안 전문가, 학계 인사, 법조계 인물 등이 참여할 것으로 전망되며, 내부적으로는 이른바 ‘화이트 해커’ 섭외도 검토 중이다. 위원회는 각 계열사의 보안 수준과 위기 관리 체계를 진단하고, 그룹 차원의 보안 거버넌스 및 대응력 강화 방안을 도출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현재 유심교체 서비스를 제공 중이며, 12일부터는 ‘유심 재설정’ 솔루션도 도입한다. 해당 조치는 유심 내 사용자 식별·인증 정보를 일부 새롭게 설정하는 방식으로, 물리적 유심교체 없이도 동일한 보안 효과를 제공한다. 고객은 유심 교체 예약 후 대리점(T월드)에 방문해 절차를 진행하면 된다.
정부도 보안 강화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근 기업 6,000여 곳에 ‘사이버 위협 대응 태세 강화’ 공문을 발송했으며, 유영상임 과기부 장관은 “범국가적인 사이버 보안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정부와 민간이 보유한 모든 사이버 보안 역량을 총동원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이 사이버 보험 등 금융적 보호장치를 병행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실제로 한화손해보험 등 일부 보험사는 ‘사이버 리스크 매니지먼트 센터’를 운영하며 기업의 보안 취약점 진단 및 보강 솔루션을 제공 중이다.
시장조사기관 사이버시큐리티 벤처스에 따르면 전 세계 사이버 공격 피해액은 2023년 기준 8조 달러에서 2025년에는 10조 5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민간과 정부, 기업이 협력해 다층적인 사이버 방어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