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1만 8021명의 청년 데이터 분석한 서울 광역 청년센터, 2024년 연구 보고서 5종 발간
CITIZEN
청년

1만 8021명의 청년 데이터 분석한 서울 광역 청년센터, 2024년 연구 보고서 5종 발간

문나리 기자
입력
·청년수당,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 초기청년 정책 등 주요 의제 다뤄
·초기청년 지원 확대, 맞춤형 지원 및 정책 전달 체계 개선 필요성 제언
사진) 서울광역청년센터 연구보고서 5

서울광역청년센터가 청년정책의 효과와 개선 방향을 분석한 연구 보고서 5종을 발간했다. 이번 연구는 청년정책의 실효성을 검토하고 정책 간 연계 및 접근성 강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18021명의 정책 참여 청년 데이터를 분석해 청년수당,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 초기청년 정책 등 주요 의제를 중심으로 개선 방향을 제시했다.


2024년 청년수당 참여자 경제활동 영역 분석 주요 결과
2024년 청년수당 참여자 경제활동 영역 분석 주요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청년수당 참여 이후 진로 확정 비율(9.6%22.7%), 구직활동 참여율(61.3%67.2%)이 증가했다. 또한 구직 태도 및 인식 점수에서 미선정자(63.2) 보다 선정자(68.8)가 높아 청년수당이 단순한 생활비 지원을 넘어 실제 취업과 창업으로 이어지는 데 기여했음이 분석됐다.

2024년 청년마음건강지원사업 상담 전후 비교 분석 주요 결과
2024년 청년마음건강지원사업 상담 전후 비교 분석 주요 결과

서울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 연구에서는 2024년 한 해 동안 172명의 청년이 총 8863건의 심리상담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 전후 비교 결과, 자아존중감(63.0점→70.7)과 회복탄력성(58.1점→63.9)은 증가했으며, 우울(53.2점→43.4)과 불안(52.8점→42.7) 점수는 감소하는 등 심리적 안정성이 향상된 것으로 분석됐다.


청년정책 탐색적 연구에서는 서울시 청년정책 및 기초센터 사업을 현금성 지원, 서비스 제공, 종합지원으로 유형화해 분석했다. 그 결과 이행기별 특성에 따른 정책 연계 방안을 8개 정책 방향으로 제시했다. 이를 통해 청년정책이 당사자 입장에서 사회안전망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정책 전달체계 정비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연구 결과의 공통점으로 정책 참여자 연령대 중 초기청년(19~24)이 가장 높은 정책 효과성과 만족도를 보이며 초기청년 맞춤형 콘텐츠 개발을 강조했다. 또한 시행 중인 청소년정책-초기청년(후기청소년)정책-청년정책을 비교 분석한 결과, 정책의 연속성을 확보하고 생애주기를 고려한 지원 체계 및 정책 전달체계를 통합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서울광역청년센터 신소미 센터장은 이번 연구가 청년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데이터와 현장의 결합으로 보다 효과적인 청년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서울광역청년센터는 청년 사각지대 해소와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정책 연구와 실행을 병행하며, 청년수당과 청년마음건강지원사업을 비롯한 다양한 청년 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발간된 보고서 전문은 서울광역청년센터 누리집에 게시돼 있으며, 사업 관련 문의는 정책사업팀에서 안내받을 수 있다.

문나리 기자
theway_u@naver.com
share-band
밴드
URL복사
#청년정책#서울광역청년센터#연구보고서#청년데이터#청년수당#청년마음건강지원사업#초기청년정책#기초센터 사업#탐색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