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2025년 ‘지역활력타운’ 10곳 선정, 청년·은퇴자 유입 위한 정주 기반 본격 조성
NEWS
사회

2025년 ‘지역활력타운’ 10곳 선정, 청년·은퇴자 유입 위한 정주 기반 본격 조성

문나리 기자
입력
8개 중앙부처 협업하여 지방소멸 위기 대응
주거·일자리·생활인프라 결합한 지역정착 모델 구축

  정부가 지방소멸 위기 대응과 인구유입 촉진을 위해 추진 중인 ‘지역활력타운’ 조성사업의 2025년도 대상지로 10개 지역이 최종 선정됐다.

 

  농림축산식품부, 국토교통부, 교육부, 행정안전부 등 8개 부처는 20일 공동 발표를 통해 강원 태백, 충북 증평, 충남 부여·청양, 전북 순창·장수, 전남 강진·영암, 경북 예천, 경남 하동 등 10개 지자체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지역활력타운’은 주거, 생활인프라, 서비스, 일자리 등을 결합한 복합 정주공간으로, 청년과 은퇴자 등 인구 유입 계층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2023년 처음 도입되어 올해 두 번째 대상지를 선정했다.

 정부는 서면평가와 현장실사, 종합평가 등을 거쳐 입지 여건과 지역 특성을 반영한 계획을 바탕으로 이번 대상지를 선정했다.


▲‘25년 지역활력타운 조성사업 공모 선정 결과

지자체

사업 개요

지자체

사업 개요

강원

태백

일자리와 삶이 연결되는 정주모델 구축

(사업비) 220억원 / (규모) 7,221㎡

충북

증평

주거플랫폼 조성으로 청년 삶의 질 향상

(사업비) 360억원 / (규모) 26,973㎡

충남

부여

청년∙근로자 유입 및 지역정착 기반 마련

(사업비) 268억원 / (규모) 13,772㎡

충남

청양

스포츠 육성기반 활력거점 조성

(사업비) 546억원 / (규모) 34,427㎡

전북

순창

세대별 수요맞춤형 정주마을 조성

(사업비) 255억원 / (규모) 38,605㎡

전북

장수

장수특화 체류-거주-정착 주거환경 조성

(사업비) 301억원 / (규모) 79,845㎡

전남

강진

일자리 수요 맞춤형 정주환경 조성

(사업비) 231억원 / (규모) 21,620㎡

전남

영암

청년 맞춤형 지속가능한 정주여건 구축

(사업비) 184억원 / (규모) 27,267㎡

경북

예천

청년 일자리 연계 양질의 주거공간 제공

(사업비) 3,584억원 / (규모) 53,419㎡

경남

하동

로컬 Compact 콘텐츠 타운 조성

(사업비) 135억원 / (규모) 10,045㎡

‘25년 지역활력타운 선정 사업별_농림축산식품부
‘25년 지역활력타운 선정 사업별_농림축산식품부

  선정된 지자체들은 각기 다른 지역 수요에 따라 특화 전략을 세웠다.

 태백, 증평, 부여, 강진, 영암, 예천 등은 인근 산업단지와 연계한 직주근접형 정주환경 조성에 중점을 뒀고, 청양과 장수는 스포츠·레저 등 지역 특화 콘텐츠 기반 체류형 정착모델을, 순창과 하동은 다계층 수요 맞춤형 주거·서비스 복합단지 조성을 목표로 한다.

 가령 경북 예천은 도시첨단산업단지와 인접한 입지를 활용해 청년·신혼부부 임대주택과 유아친화형 국민체육센터를 조성하며, 충북 증평은 산업단지 근로자를 위한 연립주택과 타운하우스를 공급하고 로컬창업 지원을 연계한다.

 충남 청양은 탁구 전지훈련장을 갖춘 스포츠 기반 주거단지를, 전북 장수는 산악레저 콘텐츠와 연계한 휴양형 커뮤니티 타운을 조성한다.

 

  이번 사업은 10월까지 지방시대위원회 심의중앙부처-지자체 간 협약을 거쳐, 오는 2028년까지 최대 4년간 국비 지원을 통해 본격 추진될 예정이다.

 

  농림축산식품부 박성우 농촌정책국장은 “지역활력타운은 단순한 주택공급을 넘어 삶의 기반을 제공하는 모델로, 청년과 은퇴자의 지방 정착을 유도할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부처 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문나리 기자
theway_u@naver.com
share-band
밴드
URL복사
#지역활력타운#지방소멸대응#정부공모사업#청년귀촌#귀농귀촌#정주여건개선#부처협업#지역균형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