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국가유산청, 2025년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 사업에 25개 프로그램 선정
LIFE
문화예술

국가유산청, 2025년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 사업에 25개 프로그램 선정

KCB(한국시민방송) 기자
입력
지역 무형유산 지원을 통한 전승 체계 구축 및 문화 자원 보호


국가유산청은 「2025년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 사업」 대상으로 ‘충주 상여제작과 상장례 문화’(충북 충주)와 ‘홍어 식문화 기록화’(전남 나주) 등 총 25개의 프로그램을 선정하였다.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 사업」은 지역의 비지정 무형유산을 선정해 대표 문화자원으로 지원·육성하는 사업이다. 지자체 공모를 통해 지원 대상 프로그램을 선정하며, 선정된 프로그램별로 최대 1억 원(국비 50%, 지방비 50%)까지 지원해 자율적인 전승 체계를 구축할 수 있게 한다. 성과에 따라 최대 3년까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이번 공모에는 총 12개 시·도의 54개 프로그램이 접수되었으며, 사업 타당성과 무형유산으로서의 가치 등에 대한 관계 전문가의 평가를 거쳐 최종 25개가 선정되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 마을 단위의 상여·상엿집 등 상장례 의식을 학술대회 등을 통해 심화 연구하는 ‘충주 상여제작과 상장례 문화’(충북 충주) ▲ 삭힌 홍어 식문화의 가치를 구술 기록 등으로 탐구하는 ‘홍어 식문화 기록화’(전남 나주) ▲ 괴산 지역의 자연환경에 대한 지역민의 인지체계와 전통마을 입지 관련 특성을 만화영화(애니메이션), 반짝 매장(팝업스토어) 등 참신한 방식으로 전승하는 ‘괴산 마을풍수형국과 마을제당’(충북 괴산) ▲ 대중의 눈높이에 맞춰 불교의 교리를 설명하는 의례인 ‘땅설법’을 관련 도서와 영상 등으로 제작해 소개하는 ‘땅설법 발굴・육성 사업’(강원 삼척) ▲ 부안 지역의 독특한 마을제의인 ‘부안 당산제’의 가치를 실태조사와 기록화 등으로 발굴하는 ‘부안 당산제의 미래 무형유산으로서의 가치발굴 사업’(전북 부안) 등이 있다.

이번에 선정된 프로그램들은 2025년부터 각 무형유산의 현황 등에 대한 조사·연구를 시행하거나, 앞으로의 발전 계획을 논의하는 학술대회, 전승자 육성을 위한 교육 등 다양한 형태로 진행될 예정이다.

국가유산청은 앞으로도 다양한 비지정 무형유산의 잠재적 가치를 발굴하여, 안정적인 전승기반을 마련하고 국민이 함께 향유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가 될 수 있도록 관련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KCB(한국시민방송) 기자
wwwwhw@kcbpaper.com
share-band
밴드
URL복사